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철강산업 정리 feat 포스코 & 현대제철
    Some things to read 2018. 6. 4. 01:09

    1)한국 철강산업의 태동

    우리는 실생활에서 자동차, 자전거, 살고 있는 집, 세탁기, 냉장고같은 가전제품 등 모든 곳에서 철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왜 우리는 이렇게 철을 기초소재로 많이 사용하게 된 것일까요? 그건 아마 철이 지각을 구성하는 원소 중에서 산소, 규소, 알루미늄 다음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는 천연자원이며, 게다가 지각 구성중에서 5%를 차지하는 철은 광맥의 형태로 집중적으로 매장되어 있어 다른 어떤 천연자원보다 쉽게 구할수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철을 발견하게 된 믿을만한기록이 없어서 인지 여러 가설들이 생겼습니다. 그중에 청동을 만드는 과정에서 구리 대신 철광석을 잘못넣어 제련하면서 철을 발견했다는 채광 착오설이 개연성이 가장 있어보입니다. 이처럼 구하기 쉽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싸고, 모양의 변화가 쉽다는 점에서 널리 쓰게되었습니다. 현재뿐만 아니라 로마 역사도 철기문화의 발달로 번영이 시작되었고, 2차 세계대전에서 미국이 승리한 것도 당시 세계 제1의 철강 생산국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제 우리나라 철강산업의 역사를 알아보겠습니다. 1967년 9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명을 받아 종합제철소 설립이라는 거의 불가능해 보이는 일에 도전했습니다. 당시 한국은 자본도, 기술도, 경영능력도 없는 가난한 후진국으로 세계은행으로부터 출자를 받을 예정이었지만, 한국은 원리금을 상환할 능력이 없다는 이유로 포항제철이 신청한 프로젝트파이닌싱이 끝내 거절당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포기하지않고 불굴의 노력과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황량한 모래밭이었던 포항의 한해변에 1973년 7월 연산 103만 톤 규모의 고로 1기가 완성됩니다. 여기에서 시작되어 포스코는 가동한지 25년만에 세계 정상급 제철소가 되었으며 우리나라 철강 산업의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이 불굴의 노력이라는게 1969년 일본과 국교를 정상화하는 조건으로 대일청구권 자금을 바탕으로 포항제철을 세운것이다. 그렇게 계속적인 확장으로 조강능력을 키우던 중에 2000년 민영화가 되고 2002년 포스코로 개명하여 현재는 생산능력으로 추격해오는 중국을 WP(world premium) 제품비중을 높여 따돌리는 전략으로 13%의 영업이익률을 현재 기록하고 있다. 중국의 공급조절에 따른 반사이익도 있겠지만 이는, 현재 글로벌 철강업체중에서도 1등 수준이다. 

    2)철강 산업의 특성

    철강은 나프타와 더불어 산업의 쌀이라고 불릴만큼 중요한 기초소재이며 전방산업에 연쇄효과가 큰 산업이다. 게다가 막대한 초기투자를 필요로 하는 자본 및 기술집약적 장치산업이다. 초기투자 이후에도 산업의 발전에 따라 생산성 유지 및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필요로 하기에 신규 시장진입이 어려운 산업이다. 철강 제조의 원료가 되는 철광석과 원료탄 등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철강석은 VALE, 리오틴토, BHP빌리톤 등 3개사가 세계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공급자의 시장지배력이 크다. 따라서 철강사들은 구매자의 지위보다는 그저 철강석의 국제가격 변동에 따라 움직일수밖에 없다. 이를 판매가격에 반영하느냐 원자료 가격의 상승분은 다른 노력으로 자체 흡수하느냐에 따라 영업이익률이 들쑥날쑥하게 된다. 그리고 철강산업은 증산을 위한 설비증설에 장기간 소요되어 경기변동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점이 있다. 일관제철소는 설비투자가 통상 연간 생산능력 기준으로 400만톤 단위로 이루어지므로 호황기 증산 및 업황이 안좋을때 설비폐쇄에 거액의 비용처리가 발생하여 생산량의 조절이 쉽지않다. 이처럼 업황에 따른 리스크가 큰 산업임에도 다양한 전방산업이 존재하여 분산 및 수출확대로 리스크에 대처하고 있다.

    3)철강의 종류

     -판재

    ⅰ)후판: 두께 6mm이상의 두꺼운 강판으로 선박에 주로 쓰이며 교량이나 보일러 및 압력용기 등 산업시설에도 사용된다.

    ⅱ)열연: 강판의 중간재로써 냉연강판을 만들기 위한 재료가 되거나 강관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ⅲ)냉연: 표면이 미려하고 가공성이 우수한 고급철강재로 자동차에 가장 널리 쓰이며 가전제품, 건축 의장재 등에 사용된다.

    -조강류

    ⅰ)형강제품: 공장, 건물, 교량, 지하철 등의 기초공에 사용된다.                              

    ⅱ)봉강제품: 기계부품, 건설용 볼트, 너트의 재료로 사용된다.                               

    ⅲ)강관: 수도관, 가스관, 송유관, 석유 시추용 파이프에 사용된다.                        

    ⅳ)특수강: 특수강에는 구조용 특수강, 공구강,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강 등이 있다.

    4)제조 공정

    -철강은 철광석→제선→제강→압연공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제선은 쇳물(선철/용선)을 만드는 공정으로 철광석을 석회석 및 가루형태의 코크스와 혼합하여 소결광으로 으로 만드는 '소결공정'과 석탄을 구워 석탄 숯으로 만드는 '코크스 공정'을 통해 원재료를ㄹ 준비하고 철광석, 소결광, 코크스를 용광로에 넣고 뜨거운 바람을 불어주면 코크스가 타면서 발생한 열에 의해 철광석이 녹는데 이 과정에서 암석 등 불순물들은 위로 뜨게 되며 녹아내린 쇳물(선철/용선)은 아래로 가라앉게 된다. 두 번째는 제강공정이다. 제선공정에서 얻은 쇳물로는 탄소, 유황 등 불순물이 많이 들어 있으므로 항아리 모양의 전로 안에 쇳물과 철 스크랩을 넣은 후 고압의 산소를 불어넣어 불순물을 제거한 쇳물을 '강'이라고 한다. 이를 연속 주조기를 통해 일정한 모양으로 만들어 슬래브(열연강판, 후판의 소재가 되는 반제품),블룸(슬래브와 빌릿의 중간크기로 중대형 H강을 만드는 소재), 빌릿(철강, 선재의 소재)등 중간 소재를 만드는 공정이다. 세번째 압연 공정은 제강 공정에서 중간제품으로 만들어진 슬래브, 블룸, 빌릿을 어떤 최종제품을 만들 것인가에 따라 알맞은 압연기를 통하여 냉연코일, 열연코일, 후판, 선배 등을 만드는 공정이다. 

    -전기로 공정은 철스크랩→제강→압연을 통해 만들어지며 제선공정이 없어 영어로는 미니멀이라고도 하며 초기 투자비용이 일관제철소보다 적고 단점으로는 철근, 형강과 같은 조강류 제품만 생산할수 있다는 점이다. 

    5)글로벌 철강 생산현황 

    세계철강협회가 발행한 연보에 따르면우리나라는 2018년  7100만t으로 중국(16억8940만t), 일본(1억470만t), 인도(1억140만t), 미국(8160만t), 러시아(7130만t)에 이어 세계6위의 철강생산국이다.

    6)마치며

    철강산업은 철강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 그리고 철광석, 코크스, 석회석, 철스크랩을 포함한 원/부재료의 후방산업과 건설, 조선, 자동차, 전기/전자와 같은 전방산업 사이에 있기에 원자재의 가격변동과 경기변동에 결과를 미리 예측함으로써 투자에 임하여야겠고, 향후에 포인트는 두가지이다. 첫째,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하락과 중국을 포함한 동북아 중심의 공급과잉이 불러오는 위기의 증대이다. 여기에 요새 핫이슈인 미국 트럼프발 관세폭탄위기를 첨가해야겠다. 이러한 대응에는 자발적인 구조조정을 통한 구조개혁으로 체질을 개선하자는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내가 볼때는 뜬구름 잡듯 광범위한 표현이고 생산량은 글로벌 수요에 따라 맞춰가야겠지만 기술개발을 통해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만드는 길 밖에는 답이 없는 것같다. 글을 쓰며 알게되었는데 포스코가 전기차에 기가스틸이라는 월드프리미엄 제품외에도 전기모터, 전기차배터리 에너지저장핵심소재인 음극재/양극재, 전기차 충전소 등의 인프라사업을 망라해 전기차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철강과 관련산업으로도 기술개발을 끊임없이 해서 세계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를 바랍니다. 

    이상 '내가 더 잘할께'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꾸욱~ 부탁드립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